반응형
LPCVD (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)
1. 낮은 압력
- 반응가스가 챔버 내에서 빠르게 확산되어 여러장의 웨이퍼에 골고루 증착할 수 있다(volume expansion 효과)
- 챔버 내 오염물의 영향이 줄어든다.
- 표면에서 반응가스의 이동속도가 느려져서 표면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
2. 높은 온도
- 반응에 필요한 에너지를 높은 온도를 통해 공급(furnace를 이용하여 챔버 내부를 가열)
3. 더미 웨이퍼
- 웨이퍼 앞 공간이 넓을 수록 기체와 반응할 확률이 올라가기 때문에 film의 두께가 더 두껍게 증착된다.
- boat 위 slot이 등간격이 되어야 함
* MFP(Mean Free Path : 평균자유행로)
: 어떤 입자가 다른 입자와 충돌하기까지 평균 이동거리
(MFP는 온도에 비례하고 압력에 반비례)
LPCVD에서 낮은 압력과 높은 온도를 사용하므로, MFP가 크다
-> 표면 반응이 잘 일어나고 step coverage가 좋음
poly-Si 증착
1. 화학반응
- SiH4 -> Si + 2H2 (열분해 반응)
2. 공정조건
- 가스 유량 : SiH4 60sccm
- 공정 압력 : 260mTorr
- 공정 온도 : 615℃
600도 이상 -> 폴리실리콘 증착
450도 이하 -> a-Si 증착
- 공정시간 : 18min
결과
1. Ellipsometer 측정결과
Top | Center | Bottom | Left | Right | |
thickness [Å] | 1584 | 1638 | 1643 | 1681 | 1563 |
Avg [Å] | 1622 Å | ||||
Uniformity (s/t) | 3.6 % | ||||
Depo Rate [Å/min] | 90 Å/min |
Uniformity = [(Max-Min)/2*Avg] X 100 [%]
2. Ellipsometer 측정결과
Top | Center | Bottom | Left | Right | |
thickness [Å] | 1587 | 1563 | - | - | 1571 |
Avg [Å] | 1574 Å | ||||
Uniformity (s/t) | 0.8 % | ||||
Depo Rate [Å/min] | 87 Å/min |
3. Ellipsometer 측정결과
Top | Center | Bottom | Left | Right | |
thickness [Å] | 1580 | 1609 | 1572 | 1624 | 1549 |
Avg [Å] | 1587 Å | ||||
Uniformity (s/t) | 2.4 % | ||||
Depo Rate [Å/min] | 88 Å/min |
반응형
'반도체 > Dep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epo] LPCVD vs PECVD 비교 (0) | 2022.06.01 |
---|---|
[Depo] 증착공정 비교 - PVD, CVD (0) | 2022.05.10 |
[Depo] PVD - evaporation, supttuering (0) | 2022.05.08 |
[Depo] ALD Process (0) | 2022.05.05 |
[Depo] PECVD - SiO2 증착 (0) | 2022.05.0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