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정관리2 - 공정 품질 관리
1. 공정 품질 관리의 기본사고
: 제조공정의 시정조치를 강력하게 추진하지 못함, 요구되는 공정단계를 준수하지 못함
→ 품질문제 발생
2. 공정의 품질관리 항목 설정
관리계획서
: 제품 및 공정의 중요 관리특성 및 엔지니어링 요구사항을 포함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문서
시제품 관리계획서 → 양산 선행 관리계획서 → 양산 관리계획서
시제품 관리계획서 | 양산 선행 관리계획서 | 양산 관리계획서 | |
주관 | 설계 엔지니어 | 생기 엔지니어 | |
정의 | 초기 제품의 공정특성과 영향분석 (양산시 효율, 수명, 특성검사) |
양산을 위한 공정특성과 영향분석 초기 불량 분석 관리기준 수립 |
양산성행 관리계획서의 공정기준 및 관리기준 반영 |
검토내용 | 도면 및 사양서 공정특별특성 목록 설계 FMEA 검사, 시험, 측정 항목 |
도면 및 사양서 설계 및 공정 FMEA 제조공정도 장비 및 설비 매뉴얼 이상 처리 방법 |
작업표준 작성 측정시스템 분석 초기 공정능력 조사 |
관리항목 | 제품특성(물리, 화학적 특성) 공정특성(압력, 온도, 시간) |
3. 공정 FMEA
정의
: 공정의 잠재적 고장 및 결함형태를 분석하여 제거하거나, 영향을 감소시키는 분석방법론
방법
: 공정의 잠재적 고장형태를 파악
→ 고장형태에 의한 잠재적 영향 평가
→ 고장형태에 의한 잠재적 원인 파악, 공정변수 도출
→ 시정조치 추진
→ 문서화
4. 공정 이상의 확산 방지 대책
이상 발생 예방 체계
- 가공, 검사, 물류 공정의 이상 예방 체계
- 변경점 관리 체계 : 4M 변경에 따른 이상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여 예방
이상 확산 방지 체계
- 안돈 시스템 구축 및 응용
- 통계적 공정 관리 체계 확립 및 운영(SPC)
: Xbar-R 관리도, 히스토그램 -> 우연 원인에 의한 문제 검출
- 풀 프루프(Fool Proof)
- 자주검사
: 샘플링검사, 전수검사를 통한 제품 특성 검사
- 이상조치 및 검사결과 확인
: 검사, 측정을 통한 데이터 활용(관리도) 공정상태 판단
이전글
2023.10.29 - [공정관리/공정관리] - [공정관리] 현장품질관리
[공정관리] 현장품질관리
1. 현장 품질 관리 1. 3정 5S - 5S 정리 : 불필요한 것을 버린다 정돈 : 필요한 것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3정(정위치, 정품, 정량) : 어디에, 무엇이, 몇 개 있는지 청소 : 깨끗한 근무환경을 통
spectrum20.tistory.com
다음글
2022.05.03 - [공정관리/공정관리] - [공정관리] 표준작업관리
[공정관리] 표준작업관리
3. 표준작업관리 1. 표준작업 설정하기 - 공정설계 : 투입요소, 물자, 작업순서, 생산설비, 생산방법을 결정 -> 관리점 설정(관리항목, 품질특성) - 작업설계 : 공정 내 개별 작업에 대해, 작업내용
spectrum20.tistory.com
'공정관리 > 공정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공정관리] 현장품질관리 (2) | 2023.10.29 |
---|---|
[공정관리] 지속적 개선 (0) | 2022.05.03 |
[공정관리] 공정개선 (0) | 2022.05.03 |
[공정관리] 표준작업관리 (0) | 2022.05.0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