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정관리5 - 지속적 개선
1. 고객 불만 파악하기
고객
- 외부 고객 : 제품이나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회사 외부 고객 (ex 구매자, 사용자, 딜러)
- 내부 고객 : 최종 고객에게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내가 한 일을 받아 다음 작업을 수행하는 회사 내부 구성원
- 이해 관계자 : 제품, 프로세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가진 심의기관, 소비자 단체, 주주, 지역사회 등
고객의 소리 (VOC)
: 고객의 니즈와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그들의 인식
VOC 조사를 통해 고객의 니즈를 확인하는 데이터, 중요 품질 특성(CTQ)의 요구사항 정의, 품질특성 규정
조사 방법
외부 고객 조사 | 내부 고객 조사 |
고객 클레임 | 불량률 |
고객 불만 | C/T (Cycle Time) |
반품 또는 신용 판매 | L/T (Lead Time) |
상품 및 서비스 선호도 | COPQ (cost of poor quality) |
계약 취소율 | FMEA(failure modes & effects analysis) |
시장점유율 변화 |
2. 시정 조치 하기
부적합 발생 식별 (현상 파악)
: 유형별, 크기별 등의 조사를 통해 개선의 중점관리 항목을 밝혀냄
활용 기법
- 층별
정의 :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이나 성질이 같은 것끼리 작은 그룹으로 구분하는 것
대상 : 시간별, 작업자별, 설비별, 작업방법과 조건별, 원재료별, 측정별, 검사별, 환경별, 기후별
절차 : 전체 품질의 산포를 파악 -> 산포의 원인을 파악 -> 층별 실시 -> 층별한 소그룹의 산포를 파악 -> 다음단계 결정
- 체크시트
정의 : 항목별로 데이터를 취하거나 확인단계에서 누락, 착오 등을 없애기 위해 간단히 체크하여 그 결과를 알 수 있도록 만든 도표
- 파레토도
정의 : 중요 불량과 중요 문제가 무엇인지를 파악
목적 :개선의 공격적인 목표를 결정하고 개선효과를 확인, 불량 및 고장의 원인을 조사
절차 : 데이터 분류 항목 결정 및 데이터 수집 -> 분휴 항목별 데이터 집계 -> 파레토도 작성
- 히스토그램
정의 : 데이터의 중심위치와 산포의 모습은 나타낸 그래프
목적 : 공정 분포의 형태, 중심위치와 산포, 공정능력 파악
- 공정능력 평가
정의 : 제조품질을 만드는 공정의 능력 및 안정성 (4M의 관리상태 수준)
공정능력지수(Cp) = Su-Sl / 6시그마
- 관리도
정의 : 공정을 관리하기 위한 꺾은선 그래프
목적 : 품질의 산포(변동)가 우연원읜에 의한 것인지 이상원인에 의한 것인지 판별하고 공정이 관리상태에 있는지 판별
원인분석 및 대책 수립
실행순서
- 중점문제의 특성을 명확히 한다
- 요인의 영역(5M 1E)을 기술적으로 대강 검토한다
- 실제 상황을 확인, 조사한다 (현장조사, 기록조사, 뒷공정 조사, 기술자 경험, 과거 경험)
- 중점문제와 원인간의 체계를 세운다
- 중점문제와 원인간의 체계 수립한다 (특성요인도, 연관도, 요인계통도)
- 가능성이 높은 주요 요인 선정 및 인과관계 검토한다 (기술적 경험, 산점도, 통계적 실험)
- 주요 요인의 최적수준 탐색한다
원인분석 기법
: 5Why, 특성요인도, 요인계통도
대책수립 기법
: 브레인 스토밍, 5W1H, 계통도
대책 실시 및 효과파악
3. 재발방지 관리하기
- 잠재원인 파악 : FMEA
- 재발방지 조치 : 실수방지(Fool Proof)
이전글
2022.05.03 - [공정관리/공정관리] - [공정관리] 공정개선
'공정관리 > 공정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공정관리] 현장품질관리 (2) | 2023.10.29 |
---|---|
[공정관리] 공정개선 (0) | 2022.05.03 |
[공정관리] 표준작업관리 (0) | 2022.05.03 |
[공정관리] 공정품질관리 (0) | 2022.05.0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