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시그마란
무결점의 완벽한 품질을 추구하는 혁신활동
문제의 원인(프로세스, 공정)에 초점을 맞추어 통계적으 로 혁신활동을 진행함
- Motorola의 6시그마 (6시그마의 시작)
문제를 유발하는 공정 자체에서 문제의 근원을 찾아서 제거해야 한다
→ 품질은 공정에서 만들어진다
마이클 해리 (Mikel Harry)
6시그마 달성을 위한 통계적 방법론 개발
실제적 문제 → 통계적 문제 → 통계적 해결 → 실제적 해결
→ 6시그마 개선활동을 통해 품질수진이 좋아질 수록, 비용이 절감되는 것을 확임
- GE의 6시그마 (6시그마의 발전)
제조업 뿐 아니라, 서비스업을 포함한 전 영역에서 6시그마 활동 전개
6시그마 기본 개념
- 측정의 중요성
측정할 수 없는 것은 바꿀 수 없다 → 측정할 수 있으면 개선된다
- 시그마 수준
시그마를 이용해 품질수준을 나타냄
6σ = 3.4ppm
6σ일 때, 불량률이 0.001ppm
장기 시그마 수준 (Zlt)은 단기 시그마 수준 (Zst) 에 1.5 shift 적용
4.5σ일 때, 불량률이 3.4ppm
장기 능력치를 고려하여, 6시그마 수준 = 불량률 3.4ppm 으로 정의
* ppm (parts per million) : 백만개 중 불량 수
- COPQ (Cost of Poor Quality)
품질이 완벽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모든 비용
검사비용, 불량비용 외 배송비용, 고객 충성도 하락, 직원의 사기저하 등 보이지 않는 모든 비용
→ 시그마 수준이 향상될 수록 COPQ(품질비용)은 줄어든다
y (수율) 공정이나 매 단계마다 10억분의 1개 수준의 불량률
Yfa : Y final
Yrt (Y rolled throughput) : 각 공정의 성공률
- 프로세스 Focus
6시그마의 초점은 결함 그 자체가 아니라, 결함을 생성하거나 제거하는 프로세스에 있음
Y = f(X)
→ 문제의 결과(Y)가 아닌 원인(X)에 집중
- Belt 체계
Green Belt : BB Project 팀원, GB Project(소규모) 리더
Black Belt : BB Project 리더
Master Black Belt : BB Project 지도 및 평가, Big Y 수행리더
Champion (임원/담당) : 6시그마 추진 책임자
Process Owner (부서장) : 개선된 프로세스 유지/관리
방법론 Roadmap
실제적 문제 → 통계적 문제 → 통계적 해결 → 실제적 해결
- DMAIC
Define : 문제 정의, 고객의 핵심 요구사항과 연계된 CTQ(Critical to Quality) 선정
Measure : 현재 수준 측정을 통해 잠재인자 도출
Analyze : 치명인자(근본원인) 선정
Improve : 근본원인 해결을 위한 최적한 선정, 재현성 평가 및 개선효과 검증
Control : 관리계획 수립 및 확대 적용
* CTQ 선정 : 고객 -> 고객의 소리 -> 고객의 핵심 요구사항 -> CTQ 도출
- DFSS (Design For Six Sigma)
DMADV, DIDOV
2022.05.06 - [공정관리/6시그마] - [6시그마] DMAIC 문제해결 기법
[6시그마] DMAIC 문제해결 기법
6시그마- 전사적 성과 중심의 변화혁신을 위한 통계적 품질관리 기법- 불량률 6시그마 수준(3.4/10^6)을 달성하기 위한 문제해결기법 (방법론) 6시그마 기본개념 참고 ↓ ↓ ↓2022.11.16 - [공정관
spectrum20.tistory.com
'공정관리 > 6시그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6시그마] 정규분포 (0) | 2022.11.19 |
---|---|
[6시그마] 기초통계 (0) | 2022.11.19 |
[6시그마] 기초통계, 통계 분석 (0) | 2022.05.07 |
[6시그마] 관리도 (0) | 2022.05.07 |
[6시그마] 공정능력분석 (시그마수준, Cp, Cpk, Pp, Ppk) (0) | 2022.05.06 |
댓글